다시 자바 기본 개념을 공부하기위해 '자바의 정석' 공부 시작
리터럴(literal)
프로그래밍에서 상수를 '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' 으로 정의 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주기 위한 이름
변수(variable)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
상수(constant)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
리터럴(literal) 그 차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
예시)
int year = 2014;
변수 리터럴
final int MAX_VALUE = 100;
상수 리터럴
음수의 2진 표현을 구하는 방법
(1) 음수의 절대값을 2진수로 변환한다.
: -5의 절대값인 5를 2진수로 변환한다. 10진수 5를 2진수로 변환하면 '0101'이다.
(2) (1) 에서 구한 2진수의 1을 0으로 0은 1로 바꾼다. (1의 보수 구하기)
: '0101'이 '1010' 이 된다.
(3) (2) 의 결과에 1을 더한다. (2의 부수 구하기, 1의 보수 +1)
: '1010'에 1을 더하면 '1011'이 되고, 이것이 -5의 2진 표현이다.
실수 표현형식
기호 의미 설명
S 부호(Sign bit) 0이면 양수, 1이면 음수
E 지수(Exponent) 부호있는 정수. 지수의 범위는 -127 ~ 128(float), -1023~1024(double)
M 가수(Mantissa) 실제값을 저장하는 부분. 10진수로 7자리(float), 15자리(double)의 정밀도로 저장가능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의 정석 공부 3~5단원 (0) | 2020.12.03 |
---|